공중기도의 종류와 그 내용
운영자
2017-02-14
추천 1
댓글 0
조회 807
공중기도의 종류와 그 내용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이 정현
I. 서론
1. 문제제기
예배 중 시행되고 있는 공중기도(common prayer or public prayer)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인은 몇 년 전 서울 시내에 있는 몇 교회가 드리는 공중기도에 대해 조사한 적이 있다. 각 교단을 대표할만한 교회를 두 곳씩 선정하여 그들이 드리는 공중기도를 조사, 분석해 본 것이다. 여기에서 공중기도의 전반적인 문제가 발견되었는데, 주로 각각의 공중기도에 관한 고유한 명칭 비 사용, 내용, 구조, 길이 그리고 언어표현에 관한 것이다. 공중기도에 관한 기도자의 연구, 준비, 시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예배가 혼잡해지고 경건성이 떨어져 성도들의 분참이 어려워짐을 볼 수 있었다. 기도의 신학적, 성경적 바탕의 결여와 또한 교육의 부재로 인한 중구난방식 기도의 구사로 바른 예배를 드리지 못하고 오히려 예배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이 같은 오류와 결핍들은 이미 미국교회의 공중기도에서 공통으로 범하는 오류로서 지적된 바 있다. "공중기도는 현실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진부성). 공중기도에 적당한 목표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공중기도에 주제설정이 부족하다. 공중기도의 구성이 정연하지 못하다. 공중기도에는 잘못된 유형도 나타난다. 실제적 실천에 있어서 과오들이 많다"(Blackwood 1939:164-168).
또 다른 한 가지 난점은 소위 말하는 '대표기도'이다. 이 순서를 주보에 써 놓고 보통 교인들의 대표인 장로가 길게 기도하는 것이다. 대표기도라는 용어는 국내에만 있는 것으로 미주와 유럽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 기원이 선교사들의 어눌한 한국말 사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초기 한국교회의 산물이다. 설교는 한글원고를 준비하여 할 수 있었지만 기도는 눈을 감고 자유기도를 하였기 때문에 눈뜨고 원고를 볼 수 없었으므로 교인들 중 신앙의 연륜자인 장로를 지적하여 기도를 하게 한 것이다. 이것이 대표기도가 되어서 고정적인 예배의 한 순서로 주로 장로가 담당하는 전용물이 되었다. 대표기도 시 회개, 감사, 중보, 조명 등등의 내용을 다 다루려고 하다가 기도에 실패하여(?) 성도들의 분참을 유발하지 못하고 만다.
--- 전체 내용은 아래 자료를 다운 받으세요 ---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