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리더십의 유형
강사:이정현 목사
리더십을 연구하는 한 가지 방법은 리더의 스타일, 즉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리더십의 유형은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가장 단순한 분류는 자기 마음대로 하려는 독재형, 항상 다른 사람들과 의논하는 민주형, 그리고 모든 것을 내버려두는 방임형이다. 이 세 가지에 가부장형, 당파주의자형, 그리고 전문가형을 추가하기도 한다. 블레인 리는 그의 저서 "지도력의 원칙"에서 강압적 지도자, 실리적 지도자, 그리고 원칙적 지도자로 유형을 나누고 원칙적 리더십이 가장 존경받는 리더십이라고 주장했다(리, 지도력의 원칙 1999:10).
앤드류 브라운은 "현대사를 이끄는 리더십의 6가지 유형"에서 지도자의 유형을 영웅, 배우, 명성가, 권력의 중개인, 대사, 그리고 자발적 희생자의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세계사적인 위인들을 이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그에 의하면 가장 탁월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이 모든 유형에 정통해야 한다. 그는 지도자가 빠지기 쉬운 함정은 단 한 가지 역할에만 사로잡히는 것이라고 했다(브라운, 현대사를 이끄는 리더십의 6가지 유형 1999:13-14). 이것들 외에 다양한 유형으로서, 마법사, 인류학자, 도덕가, 봉사자로서의 리더십 유형도 말하면서 이런 유형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성숙, 지혜, 성실,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브라운은 지적했다(브라운 1999:315-337).
세속적인 리더십뿐만 아니라 기독교 리더십도 제각기 다른 유형을 가지고 있다. 박용규는 기독교 역사에 나타난 지도자의 유형을 지성주의형, 행동주의형, 부흥운동형의 세 가지로 나누었다. 지성주의형 지도자는 풍부한 학식을 바탕으로 지성을 통해 당대에 영향력을 미쳤던 기독교 지도자들을 말한다. 히포의 지성적 변증가 어거스틴, 제네바의 지성적 지도자 존 칼빈, 현대 기독교 지성인인 프란시스 쉐이퍼 등이 그들이다. 행동주의형 지도자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자신의 신앙을 기독교 공동체 속에서 실행에 옮기면서 리더십을 발휘하던 지도자들이다. 스코틀랜드 행동파 지도자 존 낙스, 몸으로 개혁을 외쳤던 울리히 쯔빙글리, 나치즘에 대항했던 본 훼퍼 등이 그들이다. 부흥운동형 지도자는 영적 각성을 모체로 하여 영향을 미쳤던 지도자들이다. 18세기 영국을 뒤흔든 요한 웨슬레, 19세기 황금의 입 스펄전, 20세기 세계선교의 디딤돌 D. L. 무디, 그리고 20세기 전도의 황제 빌리 그래함 등이 그들이다(박용규, "교회사에 나타난 지도자의 유형별 분석", 목회와 신학 1992:5).
미국 최대의 교회를 목회하는 빌 하이빌스는 기독교 지도자를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환상적 지도자, 방향지향적 지도자, 전략적 지도자, 경쟁자적 지도자, 동기부여적 지도자, 목양적 지도자, 팀사역적 지도자, 창업주적 지도자, 구조조정적 지도자, 그리고 상호조정적 지도자가 그것이다.
김상복은 그의 "목회자 리더십"에서 교회의 규모에 따라 여섯 가지로 지도자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가장 작은 교회의 노동자형, 수 십 명의 조장형, 백 명 정도의 감독형, 5백 명 미만의 중급 경영자형, 5백 명 이상의 상급 경영자형, 그리고 1천명 이상의 회장형 리더십이 그것이다(김상복, 19 : )
여기서는 여러 리더십의 자료를 근거로 일곱 가지로 리더십 유형을 정해 보았다. 이것을 "7P Leadership"이라고 불러 본다. 그것은 Plan-계획 중심의 전략가형, Program-일 중심의 전문가형, Process-과정 중심의 관리자형, Purpose-목적 중심의 개혁자형, Production-결과 중심의 성취가형, People-사람 중심의 구비자형,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종합한 Power-능력 중심의 최고경영자형 등이다.
--- 전체 내용은 아래 자료를 다운받으세요 ---
댓글0개